
온라인에서 익명성을 유지하는 방법과 개인정보 보호 팁 🔒
서문 국내 인터넷 검열 실태는 심각하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선택적 감시 (노란색), 감시가 거의 없음 (초록색) 상태인 반면 대한민국은 상당한 감시 (연분홍) 상태이다. (출처) 셧다운제, SNI 차단, 인터넷 검열감시법만 봐도 그 실태를 알 수 있다. 만 16세 미만 아동청소년의 수면권 보장을 위해 시작된 셧다운제는 국내 게임회사에서 서비스하는 PC 온라인 게임에만 한정되어 있어 모바일 게임, 해외 플랫폼 게임에는 적용되지 않아 아무런 의미가 없었던 법안이다. 2019년 SNI 차단은 https 패킷에서 SNI 필드에 접속하고자 하는 웹사이트 주소는 암호화되지 않는 원리를 이용했는데 패킷을 감청한다는 부분에서 국민들의 반발이 일어났고 이러한 방식은 위헌적이다. 인터넷 검열감시법은 카카오톡 오픈채팅과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진, gif, 압축 파일 등의 첨부파일을 올리면 해당 파일이 불법 촬영물인지 검열한다. 문제는 검열하는 AI 수준이 매우 떨어져 고양이 사진, 게임 일러스트 사진을 올려도 검열을 당하고 오픈 채팅 정지를 당하는 경우가 꽤 있다. 정작 텔레그램을 규제하지 않고 카카오톡과 인터넷 커뮤니티를 규제하는 것도 모순적이다. 또한 일상생활을 하며 진짜 자신의 모습과 인터넷을 분리, 또는 인터넷 세상에서 자신을 숨기고 싶을 때, 심지어 불법적인 행위를 할 때 꼭 신경써야 할 것이 보안이다. 인터넷 공간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그 이상으로 위험하다. 언제 어떤 웹사이트를 접속했는지는 물론 어떤 기기로 접속했는지, 나의 관심사, 위치 정보 등 수많은 데이터들이 영구적으로 데이터 수집 회사에 남아 데이터 브로커들에게 판매된다. 우리의 개인 정보들이 어딘가에서는 돈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보안이라는 것이 온라인 상의 것들이 아닌 실제 물리적인 요소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시도하기 쉬운 순서대로 물리적으로 자신의 보안을 지키는 방법부터 국내 인터넷 검열을 피하고, 궁극적으로 인터넷 상에서 정체를 숨기는 방법까지 설명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