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보안, AI, 블록체인,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 Projects
📨 Contact
i[at]devleo[dot]us
2022.03.08. 작성된 글입니다. R 설치 이곳에서 모든 버전을 볼 수 있고, 여기서 m1 맥을 위한 R을 설치할 수 있다. R Studio 설치 R 언어를 쉽게 다룰 수 있도록 R Studio를 설치할 것이다. 이곳에서 맥 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고, Intel 기반이라 m1에서는 rosetta 위에서 돌아가게 된다. R Studio 설치 에러 해결 dyld[12119]: terminating because inserted dylib '/Library/Frameworks/R.framework/Resources/lib/libR.dylib' could not be loaded: 이런 식의 에러가 난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cd /Applications/Rstudio.app/Contents/MacOS mv rsession rsession-x86 ln -s rsession-arm64 rsession xattr -r -d com.apple.quarantine /Applications/RStudio.app
23.11.28에 작성된 글입니다. 준비물 Android 스마트폰 PC 케이블 주의사항 가이드를 정확하게 따라오지 않으면 스마트폰이 부팅되지 않는 벽돌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드시 스마트폰의 모든 데이터를 백업한 후 진행해야 한다. 필자는 손실된 데이터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 삼성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삼성 KNOX 워런티가 깨진다. 순정으로 복구해도 삼성 헬스, 삼성 페이 등 KNOX 관련 앱들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스마트폰을 가볍게 이 작업은 선택사항이지만 더 가벼운 환경에서 서버를 사용하고 싶으면 진행할 것을 권장한다. 삼성의 OneUI, 샤오미의 MIUI (현 HyperOS), Oppo의 ColorOS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 제조사 별 자체 기능과 개성을 더하기 위해 순정 Android를 개조하여 만든 것인데, 이 때문에 배터리가 빨리 닳거나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사건의 발단 고등학교 때 만든 발표 자료들을 살표보던 중, 수학 시간에 Fast Fourier Transform에 대해 발표한 자료를 보다가 사건이 시작되었다. 대략적으로 푸리에 급수, 변환, 활용 예시, DFT, FFT에 대해 설명하고 FFT의 원리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 내용이다. FFT의 원리를 활용해 간단한 Audio Visualizer를 웹으로 구현했고, 발표 후반부에 직접 시연을 하기 위해 위와 같이 링크를 첨부했다. 분명히 내 기억으로는 해당 repository의 github pages가 활성화가 되어있는데 링크를 접속해보니 404가 떴다. ...
/layouts/partials/extend_head.html 파일에 아래의 코드를 작성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if or .Params.math .Site.Params.math }} <link rel="stylesheet" href="https://cdn.jsdelivr.net/npm/katex@0.12.0/dist/katex.min.css" integrity="sha384-AfEj0r4/OFrOo5t7NnNe46zW/tFgW6x/bCJG8FqQCEo3+Aro6EYUG4+cU+KJWu/X" crossorigin="anonymous"> <script defer src="https://cdn.jsdelivr.net/npm/katex@0.12.0/dist/katex.min.js" integrity="sha384-g7c+Jr9ZivxKLnZTDUhnkOnsh30B4H0rpLUpJ4jAIKs4fnJI+sEnkvrMWph2EDg4" crossorigin="anonymous"></script> <script defer src="https://cdn.jsdelivr.net/npm/katex@0.12.0/dist/contrib/auto-render.min.js" integrity="sha384-mll67QQFJfxn0IYznZYonOWZ644AWYC+Pt2cHqMaRhXVrursRwvLnLaebdGIlYNa" crossorigin="anonymous" onload="renderMathInElement(document.body);"></script> {{ end }} <script>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renderMathInElement(document.body, { delimiters: [ {left: "$$", right: "$$", display: true}, {left: "$", right: "$", display: false} ] }); }); </script>
거래소 가입 국내 거래소(빗썸, 업비트, 코인원 등)는 미성년자의 가입을 제한하고 있다. 코인 투자는 미숙한 경제 관념을 갖고 있는 미성년자에게 권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해외 거래소도 마찬가지지만 국내 거래소 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엄격한 듯 하다. 일단 본인은 binance 2단계 KYC 인증을 통과하여 정상적으로 바이낸스 해외 거래소를 이용할 수 있다. 만 18세 이상 (생일 지난 19살)은 대부분의 해외 거래소에서 가입 허가를 해준다. 지갑 주소 확인 Wallet > Fiat and Spot 에 들어가서 도지코인 검색 후 Deposit 버튼을 누른다. ...
서문 국내 인터넷 검열 실태는 심각하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선택적 감시 (노란색), 감시가 거의 없음 (초록색) 상태인 반면 대한민국은 상당한 감시 (연분홍) 상태이다. (출처) 셧다운제, SNI 차단, 인터넷 검열감시법만 봐도 그 실태를 알 수 있다. 만 16세 미만 아동청소년의 수면권 보장을 위해 시작된 셧다운제는 국내 게임회사에서 서비스하는 PC 온라인 게임에만 한정되어 있어 모바일 게임, 해외 플랫폼 게임에는 적용되지 않아 아무런 의미가 없었던 법안이다. 2019년 SNI 차단은 https 패킷에서 SNI 필드에 접속하고자 하는 웹사이트 주소는 암호화되지 않는 원리를 이용했는데 패킷을 감청한다는 부분에서 국민들의 반발이 일어났고 이러한 방식은 위헌적이다. 인터넷 검열감시법은 카카오톡 오픈채팅과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진, gif, 압축 파일 등의 첨부파일을 올리면 해당 파일이 불법 촬영물인지 검열한다. 문제는 검열하는 AI 수준이 매우 떨어져 고양이 사진, 게임 일러스트 사진을 올려도 검열을 당하고 오픈 채팅 정지를 당하는 경우가 꽤 있다. 정작 텔레그램을 규제하지 않고 카카오톡과 인터넷 커뮤니티를 규제하는 것도 모순적이다. 또한 일상생활을 하며 진짜 자신의 모습과 인터넷을 분리, 또는 인터넷 세상에서 자신을 숨기고 싶을 때, 심지어 불법적인 행위를 할 때 꼭 신경써야 할 것이 보안이다. 인터넷 공간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그 이상으로 위험하다. 언제 어떤 웹사이트를 접속했는지는 물론 어떤 기기로 접속했는지, 나의 관심사, 위치 정보 등 수많은 데이터들이 영구적으로 데이터 수집 회사에 남아 데이터 브로커들에게 판매된다. 우리의 개인 정보들이 어딘가에서는 돈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보안이라는 것이 온라인 상의 것들이 아닌 실제 물리적인 요소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시도하기 쉬운 순서대로 물리적으로 자신의 보안을 지키는 방법부터 국내 인터넷 검열을 피하고, 궁극적으로 인터넷 상에서 정체를 숨기는 방법까지 설명하겠다. ...
FastVPN이란? FastVPN이란 도메인 구매 사이트인 Namecheap에서 운영하는 VPN 서비스다. NordVPN, ExpressVPN 등 세계적인 서비스 대신에 FastVPN을 리뷰하는 이유는 하나다. 매우 저렴한 가격. 획기적인 가격 정책 가격정책은 매달 5.88 달러 (첫달 0.99달러) 매년 34.56달러 (첫해 12달러)로 타 서비스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 먼저 0.99달러로 한 달만 체험해보고 괜찮으면 연간 플랜을 사용해야겠다. 연결 불가 앱 스토어에서 FastVPN을 다운로드 받고 결제한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Best Available 로케이션으로 연결하고 몇 초 지나지 않아서 연결이 끊어진다. ...
서문 Windows 7을 약 2주 간 서버로 사용한 후 다시 Ubuntu 22.04로 돌아왔다. OBS 송출 테스트를 위해 Ubuntu Server 대신 Ubuntu를 설치했고, 완전한 순정 상태다. 이번 글에서는 Ubuntu 22.04를 서버로 사용하기 편리하게 세팅하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이 글과 겹치는 내용이 있으나 추가적으로 업데이트 된 내용도 있다. 반드시 순정 상태에서, 홈 디렉토리에서 해야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 패키지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y sudo apt-get upgrade -y 🪡 각종 인프라 유틸리티 sudo apt-get install htop net-tools neofetch cpufetch 👸 터미널을 예쁘게 만들기 sudo apt-get install zsh git curl -y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git clone --depth=1 https://github.com/romkatv/powerlevel10k.git ~/powerlevel10k echo 'source ~/powerlevel10k/powerlevel10k.zsh-theme' >>! ~/.zshrc source ~/.zshrc ⚒️ zsh 플러그인 설치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autosuggestions ${ZSH_CUSTOM:-~/.oh-my-zsh/custom}/plugins/zsh-autosuggestions sed -i 's/plugins=(git)/plugins=(git zsh-autosuggestions)/g' ~/.zshrc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syntax-highlighting.git ${ZSH_CUSTOM:-~/.oh-my-zsh/custom}/plugins/zsh-syntax-highlighting echo "source ~/.oh-my-zsh/custom/plugins/zsh-syntax-highlighting/zsh-syntax-highlighting.zsh" >> ${HOME}/.zshrc source ~/.zshrc 🔋 노트북 덮개 덮어도 전원 유지 sudo sed -i 's/#HandleLidSwitch=suspend/HandleLidSwitch=ignore/g' /etc/systemd/logind.conf sudo systemctl restart systemd-logind 🔐 git credential 세팅 git clone <개인 repo> cd <개인 repo>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store 💻 nodejs 설치 및 개발 환경 세팅 sudo apt install nodejs -y sudo apt install npm -y sudo npm cache clean -f sudo npm install -g n sudo n stable sudo npm install -g yarn nodemon pm2 typescript ts-node 💻 pip 설치 curl https://bootstrap.pypa.io/get-pip.py -o get-pip.py python3 get-pip.py PATH=$HOME/.local/bin:$PATH echo "alias p='python3'" >> ~/.zshrc source ~/.zshrc 📲 ftp 서버 구축 sudo apt install vsftpd -y sudo sh -c "echo -e 'listen=YES\nlisten_ipv6=NO\nanonymous_enable=NO\nport_enable=NO\npasv_enable=YES\nlocal_enable=YES\nwrite_enable=YES\nuse_localtime=YES\nxferlog_enable=YES\nsecure_chroot_dir=/var/run/vsftpd/empty\npam_service_name=vsftpd\nssl_enable=YES\nrsa_cert_file=/etc/ssl/certs/ssl-cert-snakeoil.pem\nrsa_private_key_file=/etc/ssl/private/ssl-cert-snakeoil.key\nlisten_port=21\npasv_min_port=60020\npasv_max_port=60030' > /etc/vsftpd.conf" sudo systemctl enable vsftpd sudo systemctl restart vsftpd 🎮 rdp 구축 sudo apt install xrdp -y sudo adduser xrdp ssl-cert sudo sh -c "sed -i '1 i\export XDG_CURRENT_DESKTOP=ubuntu:GNOME' /etc/xrdp/startwm.sh" sudo sh -c "sed -i '1 i\export GNOME_SHELL_SESSION_MODE=ubuntu' /etc/xrdp/startwm.sh" sudo sh -c "echo 'unset DBUS_SESSION_BUS_ADDRESS' >> /etc/xrdp/startwm.sh" sudo sh -c "echo 'unset XDG_RUNTIME_DIR' >> /etc/xrdp/startwm.sh" sudo service xrdp restart 💬 irc 구축 sudo apt-get install perl g++ make wget -y wget https://github.com/inspircd/inspircd/archive/refs/tags/v3.14.0.tar.gz tar xvf ./v3.14.0.tar.gz cd inspircd-3.14.0 perl ./configure make make -j5 install nano run/conf/inspircd.conf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서론 SK open API 25.02.09 수정 링크 변경됨 SK에서 운영하는 Open API 중에 지하철 혼잡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API가 있다는 것을 @D0hwq1 친구를 통해 알게 되었다. 오랜만에 API 활용 개발을 해볼 겸 지하철 혼잡도를 알려주는 사이트를 개발했다. API 소개 데이터 제공 가능한 역의 역 번호, 열차 혼잡도, 칸별 혼잡도, 칸별 하차비율, 실시간 혼잡도 이렇게 5개의 API가 제공되고 있다. 혼잡도 데이터는 수도권 지하철 1호선~9호선과 신분당선을 지원하고, 실시간 혼잡도는 2호선만 지원하며, 2호선을 타면 스크린에서 볼 수 있는 혼잡도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이다. 100% 혼잡도는 열차 한 량에 160명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혼잡도에 대한 내용은 아래 사진을 참고하고, API 사용법은 공식 문서를 참고하자. ...
잘못된 예시 1 <img src="{{ url_for('static', filename='test/{{ variable[i] }}.png') }}" width="300px">` 올바른 예시 1 <img src="{{ url_for('static', filename='test/') }}{{ variable[i] }}.png" width="300px">`